<p></p><br /><br />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를 위한 후원금 사용 논란이 계속되는 나눔의집 보도 이어갑니다. <br> <br>나눔의 집 이사회가 쌓여 있는 후원금 수십억원을 정기 예적금에 넣어서 이자 수익을 올리려 한 정황이 드러났습니다. <br> <br>후원금을 할머니들께 쓰는 것이 아니라 법인에 묶어두려 했다는 의혹을 뒷받침해주죠. <br><br>공태현 기자가 이사회 녹취를 단독으로 입수했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나눔의집 이사회가 열린 지난해 2월 26일. <br> <br>이사회 참석자들은 법인 계좌에 있는 후원금 수십억 원을 불릴 방법을 논의합니다. <br><br>[A 이사] <br>"50억 원 정도를 일반 보통 통장에 넣어놓으면 이자가 안 붙잖아." <br> <br>[안신권 / 나눔의집 소장] <br>"맞습니다." <br> <br>[B 이사] <br>"아까워." <br> <br>[A 이사] <br>"(이자를) 2%만 받아도 얼마야. 한달에. 천만 원씩 나오면 다섯 사람 인건비가 나오잖아요." <br> <br>건물 증축 같은 가상의 명분을 만들어 이자를 많이 주는 금융상품에 후원금을 넣자는 발언이 나옵니다. <br> <br>[A 이사 / (지난해 2월)] <br>"가상의 건물을 증축을 한다든가 건립을 하기 위한다든가 그 명분으로 해서 적립을 시키면 어떨까." <br> <br>실제로 두 달 뒤 나눔의집 직원들은 후원금 일부를 다른 통장으로 옮기라는 지시를 안신권 소장에게 받았다고 주장합니다. <br> <br>[나눔의집 직원] <br>"지정 후원금 통장에서 하나 빼고, 비지정 후원금 통장에서 두 개를 뺀 거예요. (두 후원금을) 섞어버린 거죠." <br> <br>후원금을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에게 쓰지 않고 법인에 묶어 두려고, 예적금 상품에 후원금을 예치했다는 의혹이 제기됩니다. <br> <br>지정과 비지정 후원금을 뒤섞어 한데 운용하는 방식도 문제가 있다는 지적입니다. <br> <br>[복지부 관계자]<br>"지정 후원금이잖아요. 용도가 적혀있을 거고 예적금으로 보낼 이유는 사실 없는데… 예적금 묶은 건 조금 문제될 소지는 있습니다." <br><br>이에 대해 나눔의집 이사회 측은 "후원금을 예적금에 넣기로 한 건 박물관 사업 등을 지속하기 위한 재원마련 차원이었다"고 해명했습니다.<br> <br>채널A 뉴스 공태현입니다. <br>ball@donga.com <br> <br>영상편집 : 변은민